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Steady and right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Steady and right

검색하기 폼
  • 전체보기 (75)
    • Javascript (4)
      • jQuery (4)
    • Java (5)
    • Spring (29)
      • Spring MVC (18)
    • WEB (34)
      • HTTP (10)
      • Template Engine (19)
    • IntelliJ (1)
    • CM (1)
      • Git (1)
    • ETC (1)
  • 방명록

Spring (29)
[Spring] Spring Container(스프링 컨테이너)

Spring Container(스프링 컨테이너) 개발자가 직접 객체를 생성한다면 아래와 같이 작성하게 된다 Object obj = new Object(); 하지만 Framework의 가장 큰 특징은 코드의 제어권을 가져간다는 것이다 (Framework 와 Library) Spring Framework의 경우 IoC/DI를 사용하여 의존성을 주입시켜주는데 이때 이 의존성을 주입할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것이 바로 스프링 컨테이너이다 그리고 생성된 객체를 빈(Bean)이라고 부른다 Configuration 개발자는 스프링 컨테이너에게 객체의 생성과 관리를 맡기기 위해 @Configuration이라는 설정 정보를 사용하여 스프링 컨테이너에 스프링 빈(Bean)을 등록한다 @Configuration publi..

Spring 2021. 8. 11. 19:07
[Spring] POJO(Plain Old Java Object)

POJO POJO를 잘 이해하려면 조금의 역사공부(?)가 필요하다 옛날 옛날에 자바 진영에서 EJB(Enterprise Java Bean)이라는 것을 만들었다 하지만 과도한 엔지니어링 때문에 이를 사용하는 것이 너무너무 복잡하고 어려웠다고 한다 그리고 제일 중요한 것은 매우 느렸다고 한다 (앞으로도 EJB를 볼일은 없을 것 같으니 자세한 내용은 찾아보지 않았다) 그러하여 이 당시에 이렇게 EJB 지옥불에 타 죽느니 Plain Old Java Object, 즉 오래된 자바 객체로 돌아가자라는 열풍이 불었다고 한다 막상 POJO가 뭔지 보면 정말 단순하다 public class Pojo { private String pojoName; private int pojoNumber; public String get..

Spring 2021. 8. 11. 14:48
[Spring] PSA(Portable Service Abstraction)

스프링의 세가지 핵심인 IoC/DI , AOP , 그리고 PSA 중 PSA에 알아보고자 한다 스프링에서 Controller, Mapping, Trasanction 이런 Annotation(어노테이션)등을 클래스나 메서드에 붙이기만 해주면 작동한다 이를 가능케 해주는게 바로 PSA 개념이다 PSA는 Portable Service Abstraction의 약자인데 여기서 핵심은 Service와 Abstraction이다 서비스 추상화라고 불리는데 이는 추상화 계층을 사용하여 어떤 기술을 내부에 숨기고 개발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Service Abstraction (서비스 추상화) 스프링이 제공하는 서비스 추상화는 많지만 Spring Web MVC와 JDBC를 예로 들어보겠다 1. Spring We..

Spring 2021. 8. 11. 12:56
[Spring] AOP (Aspect Oriented Programming)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

Spring의 주요 특징 중하나인 AOP에 대해 알아보자 예로 아주 간단한 회원가입 웹사이트를 만든다고 해보자, 핵심 로직들은 CRUD 즉 회원가입, 조회, 수정, 삭제 등이 될 것이다 그런데 만약 사이트의 성능을 체크하기 위하여 각 로직들마다 수행하는데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리는지 측정하려면 일일이 각 로직들에게 시작시간 - 끝나는 시간 등의 코드를 작성하여 뽑아야 할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각 로직에 시간 측정이라는 기능을 넣게 되면, 유지 보수가 힘들 뿐만 아니라 본래 기능에 다른 기능이 들어오기 때문에 객체 지향의 핵심 원칙 중 하나인 SRP에도 어긋나게 된다 이때 각 로직이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기능(관심사)을 하나로 묶어서 실행시켜 준다면?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AOP이다 AOP(Asp..

Spring 2021. 8. 11. 11:49
[Spring] DI(Dependency Injection) 와 IoC(Inversion of Control)

DI , 의존성 주입을 알기 위해서는 의존성이 뭔지부터 알아야겠다 Object Dependencies(객체 의존성) 현재 객체가 다른 객체와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면 현재 객체는 다른 객체에 의존성을 가진다 public class A { private B b = new B(); } 간단하게 말하자면 한 객체에서 다른 객체를 가지고 와서 쓰면 그게 바로 의존성이다 이 의존성에는 단점이 있는데, A 객체는 B객체의 생성을 제어하기 때문에 두 객체 간에는 긴밀한 결합이 생기고 이에 따라 A 객체를 변경하면 B의 객체도 변경된다 즉 A 객체가 변경되면 B 객체도 변경된다는 것이다 또한 이렇게 두 객체 사이에 의존성이 존재하면 단위 테스트 작성이 어려워진다 DI(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 ..

Spring 2021. 8. 4. 00:20
이전 1 2 3 4 5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 Session
  • 제이쿼리 기본 선택자
  • DefaultHandlerExceptionResolver
  • 쿠키
  • DTO와 VO의 차이
  • Spring MVC
  • spring
  • Spring Container
  •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 제이쿼리 직접 선택자
  • cookie
  • 세션
  • uri
  • http
  • ResponseStatusExeceptionResolver
  • ExceptionHandlerExceptionResolver
  • Cache
  • 제이쿼리란
  • 제이쿼리 탐색선택자
  • 맨코
  • Spring TypeConverter
  • 캐시
  • OOP
  • Spring API Error
  • 제이쿼리 인접 관계 선택자
  • maenco
  • 제이쿼리 위치탐색선택자
  • jQuery 직접 선택자
  • @ExceptionHandlere
  • @ResponseStatus
more
«   2025/07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