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MVC] @Controller 와 @RestController
Spring MVC Framework는 HandlerMapping/Adpater라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URL의 테이블을 만들고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URL을 매핑된 스프링 빈(빈의 이름이 URL에 매핑된다)에 연결을 하는 역할을 해준다 이때 이전의 방식이라면 빈을 등록할 때 @Component라는 어노테이션을 추가해 일일이 등록을 해야 했지만 스프링 MVC에서는 @Controller라는 어노테이션을 활용하여 매우 쉽게 스프링 빈을 등록할 수 있다 (Handler == Controller) @Controller 아래의 예시와 같이 클래스 단에 @Controller라고 어노테이션을 작성하게 되면 해당 클래스에 속한 메서드들을 스프링 빈으로 지정한다 @Controller public class Controlle..
Spring/Spring MVC
2021. 8. 24. 16:07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maenco
- Spring Container
- 세션
- Spring API Error
- Cache
- 제이쿼리 직접 선택자
- 제이쿼리란
- 제이쿼리 기본 선택자
- 제이쿼리 탐색선택자
- ResponseStatusExeceptionResolver
- @ResponseStatus
- DefaultHandlerExceptionResolver
- cookie
- 제이쿼리 인접 관계 선택자
-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 쿠키
- jQuery 직접 선택자
- spring
- DTO와 VO의 차이
- @ExceptionHandlere
- 맨코
- uri
- Spring MVC
- 제이쿼리 위치탐색선택자
- Session
- 캐시
- Spring TypeConverter
- OOP
- ExceptionHandlerExceptionResolver
- http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